Author: johnshlee

Q57. J47. 누주

Quote of the day

비록 반가움의 누주는 없을지라도 감응은 인간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봄날은 간다, 김영민, 22쪽

Words

한적 閑寂: 한가할 한, 고요할 적.
담이 淡爾: 맑을 담, 너 이.
경고성 警告聲: 깨우칠 경, 고할 고, 소리 성.
vorlaufende: run forward, pioneering, 선구적.
entschlossenheit: determination, 결의.
누주 淚珠: 눈물 누, 구슬 주.
성어중형어외 成於中形於外: 이룰 성, 어조사 어, 가운데 중, 모양 형, 바깥 외.
智: 슬기 지.


Journey and Journal

var 閑 = 한가할 한; 한가할 한 = (코로나, 재택근무) => {종이로 담을 쌓아 외부와 단절하여 내 시간에 몰입하는데 죄책감을 지우는 이.}
var 寂 = 고요할 적; 고요할 적 = (노란 콩) => {그녀가 비운 집은 조용하여 노란 콩이 떨어지는 소리까지 들렸다.}
var 淡 = 맑을 담; 맑을 담 = (불타는 물, 수증기, 참숯) => {참숯에 걸른 농도가 옅은 맑은 물 + 분홍 빛 히말라야 소금 + 레몬즙 + 수증기 피어오르는 물.}
var 爾 = 너 이; 너 이 = (실, 가락옷, 물레) => {물레 돌듯이 발 굴리며 스치는 옷 가락에 실 감듯이 바람을 감다.}
var 警 = 깨우칠 경; 깨우칠 경 = (개, 몽둥이, 말) => {프로파간다는 여러 단계를 거치고 여러 채널을 통해말로 전해진다. 그 말은 마치 개를 몽둥이로 길들여 공경하게 만들려 한다. 깨우치지 않고 야생의 늑대가 되련다.}
var 告 = 고할 고; 고할 고 = (소, 말) => {소는 낙타와 같은 위상이다. 꾿꾿히 일해 고작 제사를 위한 설렁탕에 삶아 삶을 바친다. 그리고 누구도 소를 위한 말 한마디 고하지 않는다.}
var 聲 = 소리 성; 소리 성 = (석경, 몽둥이, 귀) => {창밖에서 차바퀴가 울퉁불퉁한 석조도로를 굴러가는 소리는 마치 몽둥이로 석경을 치듯이 귀를 살살 긁는다.}
var 淚 = 눈물 누; 눈물 누 = (물, 외짝 문, 개) => {눈에서 흐르는 물은 흡사 외짝 문 밑으로 개가 스스로를 어그려(ugly)트리며 억지로 나오는 모습이다. 늑대는 문 밑으로 기어나오지 않는다.}
var 珠 = 구슬 주; 구슬 주 = (둥근 보석, 적심목) => {속이 붉은 나무의 빛깔과 둥근 모양의 귀한 돌처럼 내 몸 속에 흐르는 적혈구.}
var 成 = 이룰 성; 이룰 성 = (창, 못) => {매일 꾸준히 몸과 정신의 창을 갈고 닦아 과업의 못을 박다.}
var 於 = 어조사 어; 어조사 어 = (까마귀, 구두점) => {까마귀가 ‘아아’ 울며 하루에 구두점을 찍는다.}
var 中 = 가운데 중; 가운데 중 = (군 진영, 깃발) => {군 진영 한 가운데 꽂힌 깃발처럼 위상을 나부끼다.}
var 形 = 모양 형; 모양 형 = (방패, 털) => {포개진 평평한 방패처럼 내 몸에 무늬를 띄고 보호하는 털.}
var 外 = 바깥 외; 바깥 외 = (초승달, 점) => {눈이 째진 외국인은 매서운 눈초리로 초승달을 응시하며 구름 한 점, 거북이 배딱지 한 점 없는 하늘을 향한다.}
var 智 = 슬기 지; 슬기 지 = (화살, 구멍, 말) => {화살같은 말로 구멍을 뚫는다.}

J46. 주기와 때

갈등이다.
그는 나에게 용기를 내서 기호 밖 세계로 나와 사람들과 대면하고 부딛히고 깨지길 권한다.
나 또한 그러고 싶지만,
한 편으론 여태껏 접해온 기호를 더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기호에 대한 탄탄한 내공을 쌓음으로서 밖에서 부딛히며 깨질 때 깨지더라도 그 경험을 더 풍부하게 할 수 있는 여러 무기들을 장착하고 싶다.
내가 어려서부터 책상머리 앉아서 공부하는 스타일이 아니었기 때문에 심도있는 기호를 접하는 인내와 내공을 길러내는 것 또한 나에게는 하나의 자기극복이다.
이러한 자기극복이 어느정도 수준에 도달해 여물기 전에 섣불리 밖으로 나갔다가 축적해 놓은 것을 허탈하게 흘리기만 하고 돌아오는 것은 아닐지가 가장 큰 불안이다.
속된 표현으로 시간을 낭비하는…
목숨이라는 비용을 마땅한 교환을 성사시키지 못하고 지불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내가 어떤 지식이라도 축적해 놓았다면 그것을 쌓았던 그 경험을 몸은 기억할 것이다.
내 과업을 찾아야 한다. 찾을 것 이다.
밖으로 나가서 사람들과 부딛히는게 과업을 찾는 일련의 과정이겠다.
하지만 전쟁을 치루기 전에 만반의 준비를 해놓고 나가고 싶은 것 또한 현재 내 마음이다.
그가 의식하는 공부와 행동의 ‘병행 주기’는 내가 의식하는 것보다 더 긴 듯 하다.
내게는 병행 주기의 단위가 ‘일’이라면 그에게는 ‘해’이다.
사람들에게는 각자의 주기가 있을 것이다. 그 주기는 내 직관으로 오로지 나만이 알아가는 것이겠다.
그가 판단하는 나의 ‘때’도 결국 그의 경험에 빗주어서 나를 판단한 것이기에, 결국 내가 판단을 내려야한다.
나 또한 나에게 걸맞는 전쟁의 장을 마련하고 싶다.
동굴 속에만 갇혀 추상적인 지식만을 다룬다면 결국 인생을 흘리는 것일 뿐.
또한 나에게 주어진 과업이 먼 미래를 내다보며 수행해야 할 창작이라면 그 또한 기호 밖 세상에서 겪은 경험들이 녹여져야 진정성이 있으리라.
결국 지금의 갈등은 ‘때’를 판단하는 것이다.
지금이 그 ‘때’인가?
지금 내가 마주할 것은 전쟁이라니 보다는 전투인가?
그 전면전의 전쟁에서 큰 힘이 되어줄 전투의 경험을 겪을 ‘때’인가?

Q56. 주관성

Quote of the day

실제로 객관성은 주관성에서 비롯된다. 사람들마다 세상을 보는 시각이 제각각이라는 것을 깨닫고 나면, 세상은 그러한 각각의 인식들과는 무관한 객관적인 실체라는 판단에 이르게 된다.

생각의 지도, Richard E. Nisbett, 46쪽

동양: 도, 앎과 행동의 일치, 실천성, 실용성, 모순의 긍정, 과정, 관계, 유동성, 집단성, 현실적.
서양: 본질, 진리, 지식, 추상성, 호기심, 논리, 비모순의 원리, 범주화, 속성, 논쟁, 설득력, 규칙, 개별성, 이상적

E7. 북한과 베를린

독일통일 30주년을 기리며 전시를 준비할 것이다.
왜? 사실 여러 거창한 명분을 들 수 있지만, 단순히 호기심 때문이다.
30년이란 세월 동안 내 삶에서 바뀐 것들은 무엇이고 또 바뀌지 않은 것들은 무얼까?

호기심의 근원을 사유해보면 아마 타자라는 대상이 있을 것이다. 항상 유동하는 정체성 가운데, 장소 없는 장소성을 따라, 타자를 이해함을 통해 또한 나 자신을 이해하고자 전시를 준비할 것이다.

죽음과 같은 절대타자는 아니지만, 북한은 아마도 전 세계 모든이들에게 가장 이질적이면서도 친숙한 장소일 것이다. 그러나 서구에 비쳐지는 북한의 이미지는 항상 너무 단순하고 일방적이다. 그들의 극단적이고 적대적인 면을 내 스스로도 부인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북한의 낯면을 보는 것을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자료들을 통해 그 북한의 모습을 가능한 그대로 내 스스로 보고자 한다.

일단 거시적이고 미시적인 역사와 문화 자료를 정리하고 비교해 볼 수 밖에 없다. Web survey를 통해 다른이들에게 북한에 대해 궁금한 점들을 모으는 것도 한가지 구상이다. 1990년 베를린, 한국, 미국, 그래서 북한은 어떠했을지? 역사는 기억을 통해 존재하며, 또한 기억은 상상의 이면이다. 상상은 절대로 주관적인 것이다. 가장 주관적인게 객관적이고, 가장 개인적인게 정치적이고, 가장 특수한게 보편적이다.

영어패권시대에 살고 있는 지금, 하이데거의 말따라 언어가 의식의 집이라면, 모국어 집을 절충하며 영어의 집을 짓기 위해 많은 비용을 치러온 이 중 나도 하나이지만 그래도 특권층에 속한다. 영어의 집도 적당히 형태를 갖춘 이제 다시금 모국어를 개축하기 위해 전시를 준비하고 싶다.

문자가 가지는 힘은 마치 씨앗과도 같다. 그 작은 씨앗에 담긴 함축된 생명력을 상상해보면 경이롭지 않을 수 없다. 씨앗에서 솟아나는 새싹은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띈다. 그렇기에 이렇게 모인 문자를 바탕으로 내 주관을 통해 북한을 새롭게 기억해보려 한다.

E6. 범주의 격차

최근 내 사고의 과정이 더 명확해지면서 이전에 관여하며 고찰해오던 사안들에 대해서도 내 입장이 분명해졌다. 특히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는 인간주의다” 책을 읽고 내가 직감적으로 품었던 모호한 의구심들이 명료해졌다.

실존, 존재

“…man first of all exists, encounters himself, surges up in the world – and defines himself afterwards.”

인간은 우선적으로 존재하며, 자신을 마주한 후 세상으로 솟구친다. 이 후에 비로소 자신을 정의하게 된다.
행위로서의 존재가 본질에 앞서는 것이다.

근본, 필연, 결정, 규정, 신성

“In the philosophic atheism of the eighteenth century, the notion of God is suppressed, but not, for all that, the idea that essence is prior to existence; something of that idea we still find everywhere, in Diderot, in Voltaire and even in Kant… In Kant, this universality goes so far that the wild man of the woods, man in the state of nature and the bourgeois are all contained in the same definition and have the same fundamental qualities.”

“…existentialist will never take man as the end, since man is still to be determined… The cult of humanity ends in Comtian humanism, shut-in upon itself, and – this must be said – in Fascism.”

존재가 본질에 앞선다는 말은 곧 인간은 우연으로 세상에 왔으며 그 어떤 이유나 필연성으로 세상에 존재하는게 아니라는 말이다. 그렇기에 신, 희망, 열정과 같이 막연한 외부의 어떤 힘에 기대거나 이끌리는 것은 책임을 전가시키는 비겁한 일이다.

심지어 동양에서 말하는 “자연의 섭리”, 또는 “스스로 그러함” 또한 선험적이고 필연적인 본질을 상정하는 것이며 신성화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고조선시대 인간과 현대 인간이 본질적으로 같다고 말할 수 있는 근거 따위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를 추적해, 인간을 신성화하는 인본주의를 사상적 토대로 삼는 한민족이라는 근본을 정의하고 규정하려는 것은 한낱 환상적 민족주의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현실적 경제-문화-공동체로서의 조건은 개인의 선택에서 생각해볼 수 있겠다.

시대가 시대인 만큼, 그는 민족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셨다. 불교의 영원회귀에 대해 언급하신 기억이 난다. 과연 그는 그의 선택에 후회하지 않았을까? 훗날 자식들이 증명해준다고 하지 않던가? 그는 현실을 직시하고 감당하고 있었던가?

또한 인간을 목적으로 삼아야한다는 칸트, 콤트, 공자의 격언 또한 인간을 규정하고 신성화시키기 때문에 모순이다. 그렇기에 의식으로부터 규정된 것을 계속 쫓는 것은 불행으로 가는 것이다. 의식에서 벗어나려는 끊임없는 운동에 철학과 삶의 강력한 의미들이 있다.

주관성, 의지, 선택, 창의

“For in effect, of all the actions a man may take in order to create himself as he wills to be, there is not one which is not creative, at the same time, of an image of man such as he believes he ought to be… In fashioning myself I fashion man.”

무엇하나 규정된 것은 없기에 객관성은 증명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존재자로서 인간은 누구도 결국 자신의 주관성으로부터 시작하며 주관성을 벗을 수는 없다.

하지만 주관성이 보편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인간은 누구나 주관적이기 때문에, 그리고 결정적으로 어떠한 선택도, 인간으로서의 당위를 내세움으로써 창의적이지 않은 것은 없기 때문에, 개인이 자신의 의지로 자신을 위한 선택을 했을 때 그 선택은 인간보편을 대표하는 선택이다. 나 스스로를 빚어내는 일은 인간보편을 빚어내는 일이다.

이 말은 결국 선택을 향한 자유의지만이 목적이 될 수 있으며 보편성을 대표하는 추상적이고 증명할 수 없는 전제들(평화, 평등, 통일 등) 또한 자유의지에 따라오는 부차적인 것이다. 이렇듯 개인의 특수성이 만족 될 때 보편성 또한 만족되는 것이다.

인간보편, 불안, 책임, 주권

나에 대한 나의 자유 선택이 동시에 인간 보편을 빚어낸다는 사실은, 그렇기에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현실은 오히려 어떤 책임에서도 벗어난 홀가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내 삶에, 내 존재에, 그리고 인간보편에 있어 모든 책임이 내 두 어깨에 있다는 인식을 통해 나 자신을 향한 화살로 돌아오며, 그러한 사실을 외면하지 않는 한, 그로인해 불안하고 초조해 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선택 가운데 최선의 것을 택해야 한다는 책임의 불안은 실천의 조건이며, 우리로부터 선택의 책임을 저버리라는 지침이 아니라, 오히려 선택을 통해서만이 자신의 주권을 보장하며 자유를 취하게 된다.

자유, 타자

“Obviously, freedom as the definition of a man does not depend upon others, but as soon as there is a commitment, I am obliged to will the liberty of others at the same time as my own. I cannot make liberty my aim unless I make that of others equally my aim.”

이렇듯 나의 주관성과 주체성이 확립하는 주권은 타자에게 종속됨과 동시에 대립한다. 왜냐하면 자아는 타자를 통해 형성되고 나의 주권은 타자를 통해서만 발현되며, 타자의 자유가 나의 자유만큼이나 주체적인 것임을 우리는 같은 인간으로서 인정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타자의 자유를 위해 나의 자유를, 동시에 나의 자유를 위해 타자의 자유를 목적으로 삼을 수 밖에 없다.

도덕, 정의, 대의, 가정

“The Kantian ethic says, Never regard another as a means, but always as an end.”
“Kant declared that freedom is a will both to itself and to the freedom of others. Agreed: but he thinks that the formal and the universal suffice for the constitution of a morality.”

“A man who belongs to some communist or revolutionary society wills certain concrete ends, which imply the will to freedom, but that freedom is willed in community. We will freedom for freedom’s sake, in and through particular circumstances.”

유교에서 말하는 인과 예는 칸트가 말하는 인간 자체를 목적으로 삼으라는 도덕의식과 매우 유사하다. 칸트는 격식을 갖추고 보편성이 전제되면 도덕성을 밝히기에 충분하다 생각했다.

그러나 사르트르의 예를 통한 비판과 같이, 한 선택은 현실에서 같은 양상을 띄더라도 상반된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과 사회적 대의명분 사이, 둘다 중요하지만 때에 따라 하나를 택해야 하는 극단적인 상황에 처했을 경우, 어느 것 하나를 목적으로 삼기위해 다른 하나는 수단이 될 수밖에 없다. 어떠한 판단을 하더라도 한 개인은 그가 처한 상황에서 자신이 가장 욕망하는 것을 택할 뿐이다.

만약 그가 사회를 택한다면 그 개인은 자신이 택한 대의명분이 자신이 쳐해진 환경을 극복하는데 이바지 하는 것이라 느끼기 때문일 것이라 추측해 볼 수 있다. 혹은 자랄 때 가정에서의 관계가 화목하지 못했기 때문에 가족이라는 공동체 바깥에서 자신을 실현해보이려는 의지가 강할 수도 있다. 혹은 대의명분을 통해 내가 정의롭다는 것을 외부에서 인정받고 싶은 마음에서 비롯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혹은 정반대로 그는 자신의 절대자유를 직시하기가 버겁기 때문에 대의명분에 자신을 바침으로서 그 절대자유의 고독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시도로서의 선택일 수도 있다. 혹은 처해진 상황과 범주에 따라 사회를 선택함이 가정적인 행위로 드러날 수도 있다. 어떤 이유에서 간에 중요한 것은 진정성이다. 그리고 그 진정성은 한두가지 사건에 자신을 거는게 아닌, 자신의 존재 자체를 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진정성은 일관성을 통해 타자에게 최대한 분명하게 드러나지만, 결국 만끽(후회없음)을 통해 자신만이 확인하게 될 것이다.

가치, 판단, 진정성, 감정, 행동

이렇듯 어떤 정해진 도덕적 규율이란 있을 수 없다. 오로지 자유의지로서, 자신의 직관과 감정에서 비롯한 일관된 선택과 행위를 통해 드러나는 진정성만이 가치 판단의 근거와 기준이 된다.

그러나 또한 감정과 행동은 서로 상생관계이기 때문에 감정이 행동에 영향을 주고 또한 행동이 감정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그렇기에 선택을 통한 행동에는 존재 자체를 거는 용기을 요구하며, 그 행동을 통한 감정의 변화를 사유해야 한다.

자기기만, 외면, 도피, 비겁, 찌꺼기

“Those who hide from this total freedom, in a disguise of solemnity or with deterministic excuses, I shall call cowards. Others, who try to show that their existence is necessary, when it is merely an accident of the appearance of the human race on earth – I shall call scum. But neither cowards nor scum can be identified except upon the plane of strict authenticity.”

완전한 자유를 직시하지 못하고 근엄함이나 이미 규정된 무언가로 도피하는 이들은 자기 기만자이며, 비겁자이다. 그리고 존재의 우연보다 필연을 믿는자는 인간찌꺼기다. 자신의 주권을 포기한 자가 찌꺼기가 아니면 무엇인가?

부정, 고뇌, 희망, 기대, 꿈, 열정

침묵주의는 결국 항상 자신의 행동을 통해 자신의 삶을 증명하기 보다는 환경 탓을 할 뿐이다. 그렇기에 식민주의를 비난하고 저항할 수는 있지만, 탓하는 것은 결국 자신을 부정하는 행위일 뿐이다. 물론 자신의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못한 자에게는 실존주의는 버거운 말이다.

하지만 희망, 기대, 꿈과 같이 자신의 가능한 행동의 영역에서 벗어난 공허한 것들에 대해 고뇌한다는 것은 인간을 부정하는 것이다. 자신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희망을 불러올 필요는 없다. 고뇌한다는 것은 자신을 부정하는 패배적 자세이다.

기반, 진보, 상황

“It is true in the sense that we do not believe in progress. Progress implies amelioration; but man is always the same, facing a situation which is always changing, and choice remains always a choice in the situation.”

“Man is all the time outside of himself… Since man is thus self-surpassing, and can grasp objects only in relation to his self-surpassing, he is himself the heart and center of his transcendence.”

기반이란 없다. 인간은 식물과 같이 뿌리를 두는 존재가 아니다. 인간은 항상 자신의 밖으로 향해 자신을 넘어서는 존재이기 때문에 장소없는 장소성으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진보”라는 개념 또한 우리는 의심해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진보는 기반을, 규정된 것을 상정할 뿐만 아니라 개선이라는 것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단지 상황이 바뀌는 것 뿐이고 바뀐 상황에 최적의 선택을 하는 것 뿐이다.

그러므로 작가는 작품으로서만 평가되는게 아니다. 단지, 그의 발자취 모두의 합, 그것만이 그 자신인 것이다.

변증적, 장소 없는, 특수한 장소성

“There is no other universe except the human universe, the universe of human subjectivity. This relation of transcendence as constitutive of man (not in the sense that God is transcendent, but in the sense of self-surpassing) with subjectivity (in such as sense that man is not shut up in himself but forever present in a human universe) – it is this that we call existential humanism. This is humanism, because we remind man that there is no legislator but himself; that he himself, thus abandoned, must decide for himself; also because we show that it is not by turning back upon himself, but always by seeking, beyond himself, an aim which is one of liberation or of some particular realization, that man can realize himself as truly human.”

일단 내 상황에서 내 자신에게 묻는다. 세월호와 북한은 내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나는 내 존재 자체를 걸고 있는가? 공산당원들과 같이 뚜렷한 기반을 삼는 공동체와 같이 규정된 무엇을 목적으로 향한 부차적인 자유의지 아닌 자유의지가 아니라, 자유의지 자체를 목적으로 삼고 있는가? 나 자신의 특수성을 빚어내는데 어떤 의미를 갖는가?

한국국민이 아니고 한국사회에 살고 있지 않을 뿐더러, 유람하는 정체성, 장소없는 장소성을 지닌 나로서는 한국의 사회 문제는 한국 바깥의 사회적 맥락에서 살아가는 내 실존적 상황 이해의 조건일 뿐, 목적이 될 수가 없다. 그리고 내 가정에 대한 책임을 앞설 수는 없다. 한동안 내가 혼동했다면, 미국사회에 대한 역겨움과 원한에서 비롯된 민족주의적 정서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내 실존적 범주에서 상황을 판단하자면, 내게 더 직접적으로 다가오는 사안은 미천한 실용주의와 이윤추구를 기반으로 형성된 미국 중심주의를 해체하는 것이다. 미국 중심 이윤추구 논리로 세계가 돌아가는 한, 세월호 법을 만들고 책임자들을 처벌한다 하더라도 어느 균열을 통해서든 자의적이지 않은 사고는 또 터질 것이다. 세월호와 관련된 진상규명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사회의, 그러므로 결국 개인의 체질개선의 시급함을 외면하는 이들 때문에 그렇다. 유가족들에게는 진상규명 자체가 자유의지로서 목적이 될 수 밖에 없지만, 많은 이들에게 진상규명이 같은 의미를 갖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사실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사람들은 체질개선이 필요함을 알고 있다. 공소시효만료 전에 진상규명이 이뤄지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두가지로 볼 수 있겠다. 첫째는 유가족들이 잃어버린 이들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데 있고, 둘째는 국민들의 사회와 개인의 체질개선에 대한 의지를 확인함에 있겠다.

세월호와 마찬가지로 세상에는 수 없이 많은 정의롭지 못한 희생이 일어나고 있다. 한 개인이 그 모든 일에 정의를 구현할 수는 없다. 현재 내 상황 상 내 가정이라는 타자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데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우선될 수 밖에 없다. 그 다음은 내 가까이서 변증적 과정을 함께 거치는 타자들에게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세월호와 북한에 관해 전시준비를 하는 것도, 이 사건과 상황을 이해함으로서, 타자의 자유를 대변함과 동시에 내 자신을 넘어서고 빚어내며, 가정을 통해 그 다음 세대를 빚어내는데 기여하기 위함이다. 세월호에 연대하고 내 최소한의 역할을 할만큼의 마음은 있다. 그러나 현재 내 존재적 범주에서 세월호에 내가 두 발벗고 주도적으로 진상규명을 위한 운동에 관여할 만한 상황은 아니라는 판단이다.

결국 서구에서 살아가며 사회의 중심 세력으로서 내 자신을 실현하기엔 악조건에 처해있는게 내가 처한 현실의 상황이다. 하지만 오히려 그렇기에 이방인으로서 내 특수성은 더 부각된다. 변증적 절차, 반시대적 고찰에서 내가 도취할 과업, 쟁취할 자유는 그들의 위대한 적이 되는 것이다.

aside: 철학의 빈곤

모든게 아직은 의구심일 뿐이지만, 그 실천방식에는 철학이 빈곤하다.
겉 표면일 뿐인 현실정치 한쪽으로 너무 많이 치우쳐있다.
겉표면으로 드러나는 의미로 혁명이란 말을 치우쳐서 해석하고 있지는 않나?
동지라는 말도, 혁명이라는 말도, 과거 경험에 기반한 낭만적인 무엇을 계속 잡고 있는 듯 하다.
자신의 특수성을 실현하지 못하면 주변에서 매력을 느끼고 함께 할 이들이 없다.
주변에 모이는 이들은 모두 한이 맺혀 있는 이들이다.
밤의 기운으로 생활한다. 규정된 장소에 묶여 있기 때문이다.
이는 또 그 당시 환경을 결국 넘어서지 못했기 때문이다.
고독을 홀로 이겨내지 못했고, 지금도 고독을 견디지 못한다.
그래서 교민들과 뭉치려 하는 것이다.
나에게는 그런 집착은 없다. 그저 현실을 살아가는 것 뿐이다.
그는 말한다. 사람들에게 희망이 없으니 삶이 너무 무겁다고.
아마 희망이라는 안일한 감정에 기댔기 때문에 87혁명 후 스스로 설 힘으로 나아가지 못했을지도…

Q55. J45. 그래서 어쩌라고?

Quote of the day

망자(亡者)인들 다르랴, 그리워할 사람이라면 그것으로 좋은 일.

봄날은 간다, 김영민, 21쪽

Words

모모한: notable, worthy of mentioning
독애(篤愛): 도타울 독, 사랑 애. 서로의 관계에 사랑이나 인정이 많고 깊다
마장: 거리의 단위, 오리나 십리가 못되는 거리
개활지: 앞이 막힘 없이 탁 트여 시원하게 열려 있는 땅
선좌(禪坐): 선 선, 앉을 좌. 선을 닦는 사람의 앉는 법
너럭바위: 넓고 평평한 큰 돌
초로(初老): 처음 초, 늙을 로. 40세를 달리 이르는 말
달관: 세속을 벗어난 활달한 식견이나 인생관, 사물에 통달한 식견이나 관찰
하염없다: 시름에 싸여 멍하니 이렇다할 만한 아무 생각이 없다.
              어떤 행동이나 심리상태 따위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계속되는 상태
망자(亡者): 망할 망, 놈 자. 죽은 이
한정(閑靖): 한가할 한, 편안할 정. 한가하고 편안하다.


Journey and Journal

Tempelhof 개활지, 너럭바위 의자.
閑靖, 無爲의 공동체. 閑靖의 축적. 잠재의 閑靖

“Truth is a subjugated word.” “진리는 예속되는 단어다”라는 Margarita가 디자인한 Unbag totebag의 문구가 머릿속을 자주 스치듯이, 진리, 자유, 의미, 가치, 민주, 주권 등, 그 어느 것 하나 그냥 주어지는 것이 없다. 그렇기에 평화가 최고가치가 될 수는 없다. 당당히 자신을 드러낸 존중의 대립이 아닌 갖가지 쓰레기더미 뒤로 꼭꼭 숨은 저열한 탈취와 무력이 바로 우리가 물리쳐야할 적패이다.

문화에 질이 있을까? 문화의 질이란 그 시대의 가치관에 따라 바뀐다?
중세부터의 철학의 논쟁… 보편성, 일반성, 진리, 세상의 이치…
이런 교과서같은 답안은 찢어버려라!
가장 특수한 것이 가장 일반적인 것이다. 가장 특수하기 위해선 일반 사회에서 바라는 것의 반대로 해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래서 어쩌라고?

Q54. J44. 여주조밀(廬周藻密)

Quote of the day

평상과 비상 사이를 내가 오래 궁구한 바 있으니, 그것은 내 생각과 손가락이 굳이 여주조밀(廬周藻密)하지 못한 탓만은 아니다.

봄날은 간다, 김영민, 29쪽

사건은 경험을 만들고 경험이 쌓이면 인식이 바뀌고 인식이 바뀌면 잠재되었던 엄청난 에너지가 나온다. 이것이 현대의 인류가 전쟁하는 방식이며 그 방식으로 승리하는 경험을 만들어 가는 것은 어떠한 무력보다 더 강력하다.

영화 ‘기생충’ 아카데미 4관왕에 부쳐: 이겼지만 잘 싸웠다, 김종하, 매거진 인간계 연구소

As a reaction against the mathematical precision of Minimalist art of the 1960s, Acconci sought to fill his art with intensity and passion.

Being shot, burned or electrocuted was a means of testing not only human endurance but the social systems that prohibited these experiences.

The 20th Century Artbook, Phaidon, Acconci, Burden

Words

협착(狹窄): 좁을 협, 좁을 착. 차지하고 있는 자리가 몹시 좁음
색감(色感): 빛 색, 느낄 감. 빛깔에서 받는 느낌, 색채의 감각
이류시(二流詩): 두 이, 흐를 류, 시 시.
mysterium: wholly other, experienced with blank wonder, stupor
tremendum: awefulness, terror, demonic dread, awe
overpoweringness, majesty, sense of one’s nothingness in contrast to its power
creature feeling, dependence
energy, urgency, will, vitality
fascinans: potent charm, attractiveness in spite of fear
공혜(空慧): 빌 공, 슬기로울 혜
여주조밀(廬周藻密): 농막집 여, 두루 주, 마름 조, 빽빽할 밀. 생각이 두루 미쳐 문체가 완전하고 세밀함
사원(寺院): 절 사, 집 원
기식(寄食): 부칠 기, 밥 식. 남의 집에 얹혀 밥을 먹음
Alltäglichkeit: 일상성
Heiligkeit: 성스러움


Journey and Journal

Anyone should and are able to philosophize on life and being. But what fulfills one’s philosophy is the rigor and radicality i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nly through the process one bears this burden upon themselves, they can truly internalize, which they later claim their own.

Sartre 曰: When we anguish, aren’t we simply looking for the end of it, a place of Rest In Peace? Don’t anguish, simply reason.

Utopia is not a place where everyone compromises and reconciles. It is a place where everyone fiercely and rigorously pursues their singular being.

우리가 꿈꾸는 유토피아는 모두가 타협하고 화해하는 세상이 아니다. 유토피아는 모두가 자신의 단독적 존재를 실현하기 위해 매섭게 몰아치는 세상이다.

If we don’t judge, we can’t establish value. Being neutral and objective is neither democratic nor progressive.

One needs not be loud nor persuasive. One can simply express the power of conviction and confidence through silence.

Q53. J43. 박애도 조직도 아닌 길

Quote of the day

박애도 조직도 아닌 길, 관념론도 물질론도 아닌 길,
형이상학도 이데올로기도 아닌 길, 현실도 유토피아도 아닌길,
종교도 기술도 아닌 길, 친구도 애인도 아닌 길, 소실점처럼 이론과
생활이 아득하게 맞닿아 있는 길 없는 길을 찾아 오늘도 다시
걷는다.

봄남은 간다, 김영민, 15쪽

Words

育(기를 육): 女 + 月(子 -> 肉 -> 月). 막 출산을 끝낸 어미와 갓태어난 아이가 물을 튀며 욕조에 있는 모습.
博(넓을 박): 十(열 십) + 尃(펼 부, 퍼질 포). 꽉 찬 숫자만큼 실 타래를 푸는 모습.
  모든 것을 쏟아붓는다는 뜻에서 노름하다라는 뜻도 파생됨.
愛(사랑 애): 爫(손톱 조) + 冖(덮을 멱) + 心 + 夊(천천히 걸을 쇠). 금문에서는 旡(목멜 기) + 心.
 사람의 가슴부위의 심장을 그려 목숨을 걸 만큼 아끼는 마음을 뜻함.
四(넉 사): 갑골문의 亖가 三과 혼동되어 금문에서는 콧구멍을 그려 숨쉼을 뜻한 四가 숫자 4로 가차되었다.
  후에 숨쉬다는 뜻의 呬(쉴 희)가 따로 만들어 졌다.
圍(에워쌀 위, 나라 국): 韋(가죽 위) + 囗(에운담 위). 성 주위를 둘러싸고 경비하는 모습.
동편(東便): 동쪽 편
便(편할 편, 똥오줌 변): 亻(사람 인) + 更(고칠 경). 사람이 불편해 하는 것을 바로잡는다는 뜻.
켠: 비탈의 방언
군락(群落): 같은 지역에 모여 생활하는 많은 부락, 같은 생육조건에서 떼를지어 자라나는 식물 집단.
  수림, 초원, 황원, 수생 식물 군락따위로 크게 나뉜다.
群(무리 군): 君(임금 군) + 羊(양 양). 지팡이를 들고 명령을 내리며 양 떼를 모는 모습.
落(떨어질 락): 雨(비 우) + 艹(풀 초) + 各(각각 각). 나뭇잎이나 비가 ‘떨어지다(오다)’를 표현.


Journey and Journal

育育: 어미는 이미 출산한지 오래. 아이도 육육한지 오래. 엄마는 노란잠바 걸치고 혼자 걷는다.
博愛: 목메인 심장을 향해 힘이 가득찬 열손톱은 실타래를 풀며 천천히 걷는다.
四圍: 입이 너무 크면 콧구멍 주위를 멤돈다. 코로나와 마스크.
東便: 공구함을 열어 망치를 꺼내든 이는 낡은 탁자를 고칠 것.
群落: 지팡이를 들고 고함치면 양떼는 낙엽지고 빗방울 떨어지듯 무리를 짓는다.

Q52. J42. die all the same in New York

Quote of the day

Another went out into the world as a lad to seek his fortune, got the better of numerous giants, but had to die all the same in New York.

Ein anderer ist als junger Geselle in die Welt gezogen, um sein Glück zu machen, ist auch mit vielen Riesen fertig geworden, hat aber doch in New York sterben müssen.

Minima Moralia, Theodor Adorno, p.88

Words

stork: 황새
fretful: 화를 잘내는
fastidious: 까다로운
embittered: 쓰라리게 하는
lad: 젊은이
incorrigible: 교정할 수 없는
次 버금 차: 冫얼음 빙 + 欠 하품 흠. 제멋대로 입을 놀린다 -> 다음, 둘째. 침을 흘리는 모습. (차례次例)
恣 마음대로 자: 心 마음 심 + 次 버금 차. 마구 지껄이는 모습. 次의 “제멋대로” 의미를 대체함. (방자放恣)
姿 모양 자: 次 버금 차 + 女 여자 여. 태도를 바로잡도록 뒤에서 여자한테 잔소리하는 모습. (자세姿勢)
Geselle: journeyman


Journey and Journal

New York will one day become 次 Pompei
fastidious and fretful New York makes a lad 恣
unembittered stork’s 姿는 뒤에서 잔소리를 해도 incorrigible

Q51. J41. writing and homeland

Quote of the day

Rather, the dialectic advances by way of extremes, driving thoughts with the utmost consequentiality to the point where they turn back on themselves, instead of qualifying them. The prudence that restrains us from venturing too far ahead in a sentence, is usually only an agent of social control, and so of stupefaction.

If he succeeds in saying entirely what he means, it is beautiful. Beauty of expression for its own sake is not at all ‘too beautiful’, but ornamental, arty-crafty, ugly. But he who, on the pretext of unselfishly serving only the matter in hand, neglects purity of expression, always betrays the matter as well.

The soundness of a conception can be judged by whether it causes one quotation to summon another. Where thought has opened up one cell of reality, it should, without violence by the subject, penetrate the next.

For a man who no longer has a homeland, writing becomes a place to live… In the end, the writer is not even allowed to live in his writing.

Wer keine Heimat mehr hat, dem wird wohl gar das Schreiben zum Wohnen.
.. Am Ende ist es dem Schriftsteller nicht einmal im Schreiben zu wohnen gestattet.

Minima Moralia, Theodor Adorno, p.87

Words

trifling: 하찮은, 게으른, 천박한
pedantic: 학자연하는, 아는체하는
begrudge: 시기하다, 아까워하다, 꺼려하다
lees: 술의 찌꺼기
coquetry: 교태, 아양
seldom: 드물게, 좀처럼
triteness: 진부함, 케케묵음, 흔해빠짐
abominable: 지긋지긋한
skewered: 꼬치로 꿰인
brackish: 짭짤하고 더러운, 소금기있는, 불쾌한
swill: 꿀꺽꿀꺽 들이키다
caesura: 행간의 휴지, break, pause
unschematic: 도식이 없는
thicket: 덤불, 잡목숲
slovenliness: 단정치 못한, 아무렇게나 함
salutary: 유익한, 건강에 좋은
complacency: 자기만족
concession: 양보
drab: 단조로움, monotony
banal: 케케묵은, 진부한
appurtenance: 부속품
platitude: 단조, 평범
scruple: 망설임, 의심, 양심의 가책
vanity: 허영심
prudence: 사려분별
reified: 구체화하다, 구상화하다
solicitous: 걱정하는, 열심인, 열망하는
flit: 훨훨날다, 급속히 지나가다
trundle: 돌리다, 던지다, 수레로 운반하다
lumber: 잡동사니, 잡동사니로 장소를 가로막다
conducive: 도움이 되는
gestattet: allowed
巴 꼬리 파
把 잡을 파
肥 살찔 비
爬 긁을 파
色 빛 색
欠 하품 흠
吹 불 취
炊 불 땔 취
飮 마실 음
欲 바랄 욕
慾 욕심 욕
歌 노래 가
歎 탄식할 탄
歡 기쁠 환


Journey and Journal

trite living space
banal expressions
drab design
trifling style
abominable platitude
반복되는 歌
(欠) => {keep distance}

欲飮 = swill skewered brackish Danish Hering
less begrudge lees
don’t scruple
reify and schematize
flit over thicket